무엇을 보아야 할까. 보고 느껴 생각하는 것의 중요한 의미다. 그것이 형상이 되고 말이 만들 어지고 행동으로 옮겨지기 때문이다.
무엇을 보든 받아드리는 것은 그 사람의 그릇 만큼이지만 잘못 인식되어지는 것도 있으나 모든 것은 그속에 나름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 美醜(미추)를 따져 선입견을 가져선 안 되는 것이다. 특히 사람에 있어선...
언제 어디에서든 자신의 그릇만큼 담아 그만큼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이 보고 느껴 좋은 것을 담아내야 하는 것이다.
좋게보면 다 꽃이 되듯 항상 고운 마음으로 바라보는 것이 참으로 중요함이다.
<멍석의 아침명상>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ㅣ *한글꽃 동심화에세이집_"그냥" *저자/ 멍석 김문태, 출판사_라의 눈 -http://www.kyoboacademy.co.kr/…/pr…/general/bookInfoKor.laf… .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<전국투어 동심화 시화전> -"내 안에 품은 달" -전시날짜: 11월18일~12월30일 -전시장소: 울산 중구 성남동 87~3_애령
"관조는 조용한 마음으로 대상의 본질을 바라본다"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으며 또한 "관조는 그 대상에 따라 크게 예술관조와 자연관조로 나누어진다. 예술관조는 창작의 추체험(追體驗) 혹은 내면적 모작(模作)이라는 것이다. 예술관조의 태도에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. 작품을 그 요구대로 관조하는 경우와 작품이 유발하는 관조자 자신의 상상 활동 및 주관의 감정을 즐기는 경우이다. 이것을 각각 능동적 태도와 수동적 태도, 혹은 외방집중(外方集中)과 내방집중이라고 부른다. 예술관조는 예술작품이 일정한 예술의지의 표현인 한 객관적이어야 한다. 그런데 이에 반해 자연관조는 자연이 관조자에게 일정한 방식을 요구하지 않는 한 주관적이며, 같은 자연도 주관적 태도의 차이로 미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술관조에 비해 더 다면적이라고 할 수 있다." (네이버 지식백과: 곽승미) 자연적 관조의 자유로움이요 예술적 관조의 창작 상상 활동을 즐기는 것이다.
작가의 자유고 특권이다.
.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ㅣ *한글꽃 동심화에세이집_"그냥" *저자/ 멍석 김문태, 출판사_라의 눈 -http://www.kyoboacademy.co.kr/…/pr…/general/bookInfoKor.laf… .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<전국투어 동심화 시화전> -"내 안에 품은 달" -전시날짜: 11월18일~12월30일 -전시장소: 울산 중구 성남동 87~3_애령 .